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인스타그램 수익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일까? (2025년 셀프 신고 가이드)

by ◇♧☆¤ 2025. 5. 5.

“팔로워 몇 천 명밖에 안 되는데, 신고해야 하나요?”
“소소하게 홍보만 했는데 이것도 소득인가요?”

인스타그램으로 벌어들인 수익은 크든 작든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.
2025년 5월, 이 글을 읽고 있는 지금이 바로 신고의 달입니다!

 


 

1. 인스타그램 수익, 어떤 소득으로 분류될까?

인스타그램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대체로 사업소득이나 기타소득으로 구분됩니다.

  • 협찬, 광고, 제휴 마케팅 → 사업소득 (정기적·지속적일 경우)
  • 일시적인 홍보 → 기타소득 (단발성 협찬, 홍보 등)
  • 자체 상품 판매 → 사업소득 (스마트스토어, 네이버 톡톡 등)

월 1건 이상 수익이 반복된다면 사업소득으로 보는 것이 원칙입니다.

 


 

2. 어떤 형태의 인스타 수익이 신고 대상인가요?

수익 형태 신고 대상 여부
제품 협찬 + 광고료 O
링크 기반 제휴 수익 (예: 쿠팡파트너스) O
자체 제작 상품 판매 (디지털/피지컬) O
브랜드와 정기 계약 O
한 번 받은 선물, 무수익 리뷰 X (단, 고가 제품은 논란의 여지 있음)

광고비, 제휴수수료, 정산금 등 모든 입금은 기록이 남습니다.

국세청은 SNS 기반 수익도 충분히 파악 가능

합니다.

 


 

3. 홈택스에서 인스타그램 수익 신고하는 방법

  1.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
  2. 종합소득세 신고 → 정기신고 작성하기
  3. 사업소득 또는 기타소득 항목에서 직접 입력
  4. 수익 금액과 수수료, 경비 내역 입력 (ex. 촬영비, 도구 구입비)
  5. 신고서 저장 후 제출 및 납부

주의: 인스타그램 수익은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국세청에 전달되지 않으므로,

직접 정산내역을 정리해 입력

해야 합니다.

 


 

4. 이런 사람은 특히 주의하세요!

  • 2024년 인스타그램 제휴 수익이 100만 원 이상이다
  • 광고비를 계좌이체로 받은 적이 있다
  • 스마트스토어나 링크로 수익을 연결한 적이 있다
  • 리그램 콘텐츠로 상품을 홍보한 적이 있다

이 중 1개라도 해당된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꼭 해야 합니다.

 


 

5. 신고 안 하면 어떤 불이익이?

  • 무신고 가산세 20% 부과
  • 소득 누락 시 10년 내 추징 가능
  • 신용점수 하락, 건강보험료 불이익

특히 광고비, 협찬 수익은 기업이 비용 처리하며 국세청에도 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
 


 

6. 놓친 수익 신고는 이렇게 해결하세요

이미 신고 기한이 지났다면 기한 후 신고 또는 자진 수정신고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실제 사례는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:

프리랜서인데 종합소득세 신고 안 했어요… 어떻게 하나요? (2025년판)


 

7. 마무리: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

인스타그램은 이제 단순 SNS가 아니라 수익 플랫폼입니다.

소득이 발생했다면, 반드시 신고

해야 합니다.

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, 잊지 말고 인스타 수익도 체크하세요.

도움이 되셨다면 글 하단의 공유와 댓글 부탁드립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