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팔로워 몇 천 명밖에 안 되는데, 신고해야 하나요?”
“소소하게 홍보만 했는데 이것도 소득인가요?”
인스타그램으로 벌어들인 수익은 크든 작든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.
2025년 5월, 이 글을 읽고 있는 지금이 바로 신고의 달입니다!
1. 인스타그램 수익, 어떤 소득으로 분류될까?
인스타그램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대체로 사업소득이나 기타소득으로 구분됩니다.
- 협찬, 광고, 제휴 마케팅 → 사업소득 (정기적·지속적일 경우)
- 일시적인 홍보 → 기타소득 (단발성 협찬, 홍보 등)
- 자체 상품 판매 → 사업소득 (스마트스토어, 네이버 톡톡 등)
월 1건 이상 수익이 반복된다면 사업소득으로 보는 것이 원칙입니다.
2. 어떤 형태의 인스타 수익이 신고 대상인가요?
수익 형태 | 신고 대상 여부 |
---|---|
제품 협찬 + 광고료 | O |
링크 기반 제휴 수익 (예: 쿠팡파트너스) | O |
자체 제작 상품 판매 (디지털/피지컬) | O |
브랜드와 정기 계약 | O |
한 번 받은 선물, 무수익 리뷰 | X (단, 고가 제품은 논란의 여지 있음) |
광고비, 제휴수수료, 정산금 등 모든 입금은 기록이 남습니다.
국세청은 SNS 기반 수익도 충분히 파악 가능
합니다.
3. 홈택스에서 인스타그램 수익 신고하는 방법
-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
- 종합소득세 신고 → 정기신고 작성하기
- 사업소득 또는 기타소득 항목에서 직접 입력
- 수익 금액과 수수료, 경비 내역 입력 (ex. 촬영비, 도구 구입비)
- 신고서 저장 후 제출 및 납부
주의: 인스타그램 수익은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국세청에 전달되지 않으므로,
직접 정산내역을 정리해 입력
해야 합니다.
4. 이런 사람은 특히 주의하세요!
- 2024년 인스타그램 제휴 수익이 100만 원 이상이다
- 광고비를 계좌이체로 받은 적이 있다
- 스마트스토어나 링크로 수익을 연결한 적이 있다
- 리그램 콘텐츠로 상품을 홍보한 적이 있다
이 중 1개라도 해당된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꼭 해야 합니다.
5. 신고 안 하면 어떤 불이익이?
- 무신고 가산세 20% 부과
- 소득 누락 시 10년 내 추징 가능
- 신용점수 하락, 건강보험료 불이익
특히 광고비, 협찬 수익은 기업이 비용 처리하며 국세청에도 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6. 놓친 수익 신고는 이렇게 해결하세요
이미 신고 기한이 지났다면 기한 후 신고 또는 자진 수정신고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실제 사례는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:
프리랜서인데 종합소득세 신고 안 했어요… 어떻게 하나요? (2025년판)
7. 마무리: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
인스타그램은 이제 단순 SNS가 아니라 수익 플랫폼입니다.
소득이 발생했다면, 반드시 신고
해야 합니다.
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, 잊지 말고 인스타 수익도 체크하세요.
도움이 되셨다면 글 하단의 공유와 댓글 부탁드립니다!